#04 파이썬 기초문법 두번째
파이썬의 자료구조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.
잘 사용안하는 부분도 있고 점점 복잡하지만 초보자의 관점에서 skip할건 과감히 skip ~
1. 숫자형
2. 문자열 자료형
3. 리스트 자료형
4. 튜플 자료형
5. 딕셔너리 자료형
6. 집합 자료형
7. 불 자료형
8. 자료형의 값을 저장한하는 공간
1. 숫자형
숫자형은 정수 / 실수 / 8진수 / 16진수 등이 있다.
정수형(Integer)는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이다.
>>> a = 123456
실수형(Floating-point)는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한다.
>>> a = 1.2
8진수(Octal)은 숫자가 0o 또는 0O으로 시작되면 된다.
(=숫자0 + 알파벳 대/소문자 O)
>>> a = 0o4885
16진수(Hexadecimal)은 0x로 시작하면 된다.
>>> a = 0x4ff
숫자형을 활용하기 위해선 이전에 설명한 사칙연산자에 익숙해져야 한다.
사칙연산 더하기(+), 빼기(-), 곱셈(*), 나눗셈(/)은 계산기 입력하듯 쉽게 이해하지만
파이선은 여기에 조금 더 추가로 연산방법이 있다.
ex) x의y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
>>> a = 2
>>> b = 3
>>> a ** b
8 <--- 2를 3번 곱하라는 의미로 2 x 2 x 2 = 8이 된다.
ex)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% 연산자
>>> 7 % 3
1 <- 7을 3으로 나누면 몫은 2이고 나머지는 1이 남는다.
>>> 3 % 7
3 <- 3을 7로 나누면 3이 나머지가 된다.
ex) 나눗셈후 몫을 반화하는 // 연산자
>>> 7 // 4
1 <- 7을 4로 나누면 1.75가 결과값이다. 여기서 몫은 1이 되고 나머지는 3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