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자열이란 문자, 단어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이다.
문자열은 일반적으로 큰따옴표("")로 둘러싸여 있는데
파이썬은 그 외에 몇가지가 더 있다.
1. 큰 따옴표(")로 양쪽 둘러싸기
ex) "hello"
2. 작은따옴표(')로 양쪽 둘러싸기
ex) 'hello'
3. 큰 따옴표(")를 3개 연속해서 양쪽에 둘러싸기
ex) """my name is"""
4. 작은 따옴표(')를 3개 연속해서 양쪽에 둘러싸기
ex) '''my name is'''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문자열안에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포함시켜야 할 때도 있고
문자열에 다양한 형식을 넣고싶을때가 있다.
1. 문자열에 작은 따옴표(')를 포함시키기는 큰따옴표에 작은따옴표를 넣으면 된다.
큰따옴표 문자열 내부에 큰따옴표가 들어가면 구문오류(SyntaxError)가 발생한다.
>>> name = "he's hansome"
>>> name
he's hansome
2. 문자열에 큰다옴표(")를 포함시키려면 작은따옴표에 큰따옴표를 넣으면 된다.
>>> name = 'this is "apple" phone'
>>> name
this is "apple" phone
3. 문장에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언제든지 포함시키려면 백슬래시(\)를 사용하면 된다.
>>> name = "he is \"BTS\" right?"
>> name
he is "BTS" right?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문자열을 여러줄로 표현하고 싶을때는 아래의 2가지 방법이 있다.
1. 줄을 바꾸는 이스케이프 코드 "\n" 삽입하기
>>> multi = "i love you \nyou love me"
>>> multi
i love you
you love me
2. 연속된 작은따옴표 3개(''') 또는 큰따옴표 3개(""") 사용하기
>>> multi = """
...i love you
...you love me
..."""
i love you
you love me
여기서 이스케이프코드란 미리 정의해둔 문자조합을 의미한다.
C언어에서도 다양한 이스케이프코드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는
아래와 같은 것을 주로 사용한다.
\n(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때 사용)
\t(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)
\\(문자 \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)
\'(작은 따옴표를 그대로 사용할 때 사용)
\"(큰 따옴표를 그대로 사용할 때 사용)
\a(PC에서 삑 소리가 나도록 할때 사용)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하거나 할수 있다.
예들를 들면 A와 B를 합치면 AB가 된다.
>>> A = "i am a boy~"
>>> B = "you are a girl~"
>>> A + B
i am a boy~you are a girl~
파이썬에서는 문자열곱하기도 가능하다.
>>> A = "babo"
>>> A * 3
babobabobabo
이걸 응용하면 아래처럼 구현도 가능하다
>>> print("=", * 30)
>>> print("baribaristar")
>>> print("=", * 30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baribaristar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도 제공된다.
len함수를 이용하면 글자의 길이를 얻어온다.
>>> A = "hello world"
>>> len(A)
11
다음강좌부터는 조금 어려운 개념인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강의하려고 한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04 파이썬 기초문법 두번째 (0) | 2022.11.14 |
---|---|
#03 파이썬 기초문법 첫번째 (0) | 2022.11.13 |
#02 파이썬 설치하기 두번째 (0) | 2022.11.13 |
#01 파이썬 설치하기 첫번째 (0) | 2022.11.13 |
댓글